제목: 자기와의 싸움 로마서 6:12-23
설교: 담임 김신영 목사님
본문: 로마서 6:12-23
성경에 나온 자유란?
성경에 나온 자유란 언제나 상반되는 두 가지 본질이 있습니다. 첫째로 죄의 종이 누리는 자유는 의에 대하여 자유롭습니다. 예를 들면 돈이 자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고, 어떤 이들은 헌신을 거부하며 자유를 획득했다고 착각하고, 다른 이들은 모든 권위를 거부하며 자유라고 망각합니다. 결국은 하나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자유입니다. 결국은 옳은 일을 하려고 해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 굴레에서 빠져 나오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믿지 않는 사람들과 멍에를 함께 매지 말라고 성경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믿지 않는 자와 믿는 자의 삶은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입니다. 성경에 탕자는 집으로 다시 돌아와 참된 자유를 얻었습니다. 하나님 밖에서의 자유는 어떤 유익한 열매도 맺을 수 없습니다. 다만 쓰라린 죄의 흔적만이 남습니다.
그리스도인이 누리는 자유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죄에 종살이에서 벗어나서 자유를 누리는 의의종이 되었습니다. 이전의 죄의 주인에게서 벗어나서 의의 주인 안에서 자유를 누리는 삶입니다. 하나님을 기쁘게 해드리고 싶은, 마음에서 우러나는 순종입니다. 그리스도인의 자유는 방종이 아닙니다. 교회 안에서, 개인 생활에서 무질서하게 행하는 사람들은 자유를 누리는 사람이 아닙니다. 순종, 섬김, 헌신의 자유가 참된 그리스도인의 자유입니다.
죄에 대해서 죽고, 하나님에 대해서 산 사람들, 즉 모든 성도가 삶의 과정에서 선한 삶을 싸워야 합니다. 즉 자기 자신과의 싸움입니다. 자신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죄는 자신의 눈을 가립니다. 그래서 옳고 그름을 판단할 능력이 없어집니다. 남을 판단만 하며 자신은 돌아보지 않습니다. 남을 비판하거나, 가르치거나, 욕을 하거나, ‘look down’ 을 하는 것은 죄에 눈이 가렸기 때문입니다. 매일 자신과의 싸움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심지어 꿈이나 무의식에서도 자신과 싸웁니다. 예수님의 형상에 따라, 적극적으로 순종하므로 고귀한 성령을 열매를 삶에서 맺어야 합니다. 성화는 구원을 위한 조건이 아니라, 확신한 구원의 결과입니다. 생각, 감정, 목숨을 죄에 내어주면 안 됩니다.
사도 바울은 노예제도를 비유로 옛 복종이 사라지고, 새로운 자발적인 순종으로 변화된 구원을 비유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죄의 종에서 의의 종으로 변화됩니다. 중간은 없습니다. 하나님의 은총으로 우리는 모두 죄의 종에서 해방되어 의의 종으로 바뀌었습니다. 믿기만 하면 누구나 의의 종이 됩니다. 의의 종의 주인은 하나님이시고, 의의 종은 신분이 깨끗한 합법자이고, 의의 보수는 파멸이 아니라 사랑, 또한 의로 영원한 기쁨을 얻습니다. 또한 인격은 고상한 품위를 가지고 최종 열매는 생명입니다. 출발점은 믿음에 의해서 주어지는 명목상의 의인으로 칭해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입니다. 실체적인 의는 하나님께 순종할 때 주어집니다. 성화는 믿음에 의해 명목상 의롭다 하심을 받은 자가 실제적으로 의를 이루는 것입니다. 순종의 방법은 자신을 죄에 대해서 죽고, 하나님에 대해서 나 자신을 드리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면 성도는 자기 자신을 의의 병기로 하나님께 드릴 수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기 위해 마귀와 싸워야 합니다. 육신이 원하는 것을 죄가 가져다 줍니다. 그래서 깨어 있지 않고는 죄를 적극적으로 거절할 수 없습니다. 자신을 온전히 하나님께 순종하고 합력하면 죄를 이길 수 있습니다. 그 때 우리는 내적으로도 인격적인 변화를 체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의 전신 갑주를 입어야 합니다. 우리는 노예가 아닌 주님의 의로운 병기로 죄와 싸우는 전투자 입니다.
적용: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일인지 죄를 위한 일인지 잘 생각하고 행동하는 한 주 됩시다.